노인들에게 흔한 잔변감(후중감)과 변실금

어르신들이 특히 이런 배변 문제로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잔변감과 변실금의 첫 번째 원인은 먼저 노화를 꼽을 수 있다는 것이다.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실제로 변비에 시달리는 분들이 전체의 60% 정도나 된다.또 변비약을 상시 복용하는 분들이 전체의 1/3 정도라고 한다.이런 배변과 변비 문제는 어르신들에게 매우 흔한 현상이라는 얘기다.

잔변감이 있는 것과 실제로 잔변이 남아 있는 것은 다르다.변을 보고도 변이 새는 변실금인지 잘 구별할 필요가 있다.먼저 변을 보고 나서 시원하지 않고 아직 남아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을 잔변감이라고 하며 의학적으로는 후중감이라고도 한다.하지만 활동 중 본인도 모르게 변이 새는 것은 변실금이다.이 둘은 차이가 있어 각각에게 맞는 진단과 치료를 달리하게 된다.

배변 문제를 숨기면 안 된다

반면 항문이나 직장선종, 대장 용종 등은 이 같은 잔변이나 변실금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항문에서 피가 나면 거의 확률적으로 치질이나 치핵이 있을 수 있다.따라서 대장항문외과 진료 후 치핵이나 항문 쪽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추가적으로 항문 안쪽, 즉 직장에 문제가 있는지도 보는 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일단 무조건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야 그에 맞는 조치가 결정되므로 반드시 한 번 정도는 진찰 및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잔변감을 느끼는 분들이 절반 이상이나 된다고 해서 변실금으로 고생하는 분들도 굉장히 많다.또 편실금을 부끄러워 말을 많이 하지 않아 사실 통계 자료도 정확히 없는 실정이다.그래서 변실금에 대한 부분은 의료진이 증상에 따라 유추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각종 약제를 복용할 때도 배변 습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러나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관련된 약제는 그리 큰 연관성을 주지 않는다.

잔변감과 변실금의 원인

잔변감과 변실금은 주로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며, 나이가 많을수록 이런 증상이 훨씬 많이 생긴다.변실금이든 요실금이든 이런 배변 문제 때문에 힘들어하면서도 어린이나 의료진에게도 숨기는 분들이 많다고 한다.그러나 이는 숨겨서는 안 될 문제다.만약 조기에 처치했다면 훨씬 나아질 수 있는 일을 시간이 지날수록 더 나빠지기 때문이다.

잔변감과 변실금의 차이